본문 바로가기


변계사 Sam 일상/꾸준하게

장병규의 스타트업 한국 (2) 스타트업이란?

반응형

한국의 현실을 반영한 스타트업 입문서 <장병규의 스타트업 한국>

장병규의 스타트업 한국

스타트업?

스타트업은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비스, 게임, 모바일 서비스 등과 같은 기존과 다른 사업 영역을 다루고, 회사의 규모도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혁신의 방식도 상당히 다르다. 무엇보다 특징적인 점은 성공적인 스타트업일 경우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스타트업은 시행착오의 과정

스타트업은 생존 자체가 혁신이다. 무(無)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잃을 것에 대한 두려움도 상대적으로 작다. 창업자의 역량과 지식 이상이 요구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시행착오를 겪게 되고, 그 과정에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혁신이 싹튼다. 소수의 사람들이 '열정, '몰입', 그리고 '될 것이라고 믿는 자세(can-do attitude)'를 가지고, 주당 수십 시간씩 집중하는 것이 스타트업 혁신의 원천이다. 

스타트업에 적합한 사업이 있다

인터넷, 모바일, 빅데이터 등과 같은 기술 발달로 인해 실행 자체와 실행의 결과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속도가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에릭 리스(Eric Ries, 1979)가 2011년 동명의 책에서 주장한 린스타트업이 등장했다. 계획(plan)의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Do-See의 사이클을 매우 빠르고 많이 실행하는 것이 린스타트업의 핵심이다. 

린스타트업의 특성을 온전히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사람과 자금이 중심이고, 몰입을 통한 빠른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무형의 자산을 쌓아가는 것이 유의미하며, 언젠가 큰 시장에서 성공할 가능성을 가지고 빠르게 성장 가능한 사업. 그런 사업이 스타트업에 적합한 사업이다. 

스타트업의 성공은 비정형적이다

스타트업 성공이 비정형적이라는 의미는, 모든 스타트업은 저마다 개별 스토리를 갖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즉, 저마다의 방식으로 성공한다는 의미다.

"사업은 남들이 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남들이 안 된다고 안 되는 것도 아니다."

스타트업의 평균은 실패다

우리는 가끔 스타트업 성공으로 큰 부자가 된 스토리를 뉴스로 접한다. 많은 사람이 스타트업은 위험하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하면 성공할 것이라고 믿는 사람도 많다. 혼재된 시각들이 존재하는데, 실은 대부분 스타트업은 실패하고 소수의 스타트업만 성공한다.

평균은 실패다. 스타트업은 평균적으로 실패한다. 즉, 창업자들은 성공하겠다는 열정과 의지를 가짐과 동시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스타트업 창업자는 오늘을 살아야 한다

스타트업의 장점 중 하나는, 실패해도 잃을 것이 없다는 도전, 열정, 패기다. 그렇기에 스타트업 창업자는 내일을 대비하는 것보다 오늘에 집중해서 살아야 한다. 스타트업은 보통 실패하므로 더더욱 오늘을 살아야 한다.

창업자는 항상 사업의 단기적˙장기적 비전을 심사숙고해야 하나, 처음부터 거창한 비전을 만들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을 쏟을 필요는 없다. 창업 1~2년만 지나도 창업 당시에는 상상할 수 없는 고민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 

 

better-together.tistory.com/258

 

장병규의 스타트업 한국 (1) 스타트업계의 신화 장병규

스타트업 필독서 : 한국의 현실을 반영한 스타트업 입문서 <장병규의 스타트업 한국> 저자 장병규는 누구인가? 벤처업계의 살아 있는 신화로 불리는 장병규. 그는 한 번도 성공하기 어렵다는 창

better-together.tistory.com


새벽 독서와 새벽 산책 Day 168

반응형